라우팅 프로토콜
라우팅 :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데 있어서 가장 빠르고 안정적인 경로를 설정하여 전송하는 기술이다.
- 정적 라우팅
- 동적 라우팅
- IGP : 내부 라우팅 프로토콜
- Distance Vector - RIP : 최대 15홉 이하 규모의 네트워크
- Link State Vector - EIGP, OSPF : VLSM 및 CIDR을 지원하는 대규모 기업 네트워크에서 가장 널리 사용
- EGP : 외부 라우팅 프로토콜
- BGP : 독립운용되는 대규모 네트워크 그룹간 네트워크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는 정책 기반 외부라우팅 프로토콜
- IGP : 내부 라우팅 프로토콜
프로토콜
서로 다른 시스템에 존재하는 노드 간의 원활한 통신을 위한 규칙과 약속의 개념
통신 프로토콜의 기본 구성 요소
- 구문
- 의미
- 타이밍
OSI 7계층
OSI 계층 | 장비 | 설명 | 프로토콜 |
응용계층 | NONE | 네트워크 가상 터미널이 존재하여 서로 상이한 프로토콜에 의해 발생하는 호환성 문제를 해결하는 계층이다. | Telnet, FTP, DHCP, TFTP, HTTP, SMTP, DNS, ANMP |
표현계층 | 응용 프로세스 간에 데이터 표현상의 차이에 상관없이 통신이 가능하도록 독립성을 제공하는 계층 데이터의 코드 변환, 데이터 압축, 암호화 등의 수행을 통해 응용 계층의 부담을 덜어준다. |
||
세션계층 | 데이터 통신을 위한 양 끝단의 응용프로세스가 통신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계층 | ||
전송계층 | TCP, UDP | 네트워크상 단말기 간의 신뢰성 있는 데이터 송수신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계층 오류검출과 복구, 흐름제어, 중복 및 누락 검사 다중화등을 수행하며 세그먼트 단위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
TCP, UPD |
네트워크 계층 | 라우터, L3 스위치 | 주소를 정하고 경로를 선택하여 패킷을 전달해주는 계층 | ICMP, ARP, RARP, IP |
데이터링크 계층 | 브리지 스위치 | 물리 계층을 통해 노드간 송수신되는 정보의 오류와 흐름을 관리하여 정보 전달의 안전성을 높이는 계층 MAC 주소를 통해 통신하며 프레임 단위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
Network Interface |
물리계층 | 전송회선, 허브, 리피터 | 물리적 신호를 주고 받는 계층 |
'정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09. 응용 소프트웨어 기초 기술 활용] 신기술 (0) | 2024.04.26 |
---|---|
[09. 응용 소프트웨어 기초 기술 활용] IPv4 / IPv6 (0) | 2024.04.26 |
[09. 응용 소프트웨어 기초 기술 활용]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0) | 2024.04.26 |
[07.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구축]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요소 ( CIA ) / 접근통제 / 정보 보호 기술 ( AAA ) (0) | 2024.04.26 |
[09. 응용 소프트웨어 기초 기술 활용] 페이징 기법 / 세그먼트 기법 (0) | 2024.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