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v4
IP 주소는 전 세계의 인터넷이 가능한 기기에 부여되는 유일한 식별 주소로 IPv4는 약 43억 개의 주소 지정이 가능한데 최근 주소의 양이 부족할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IPv6가 공표되어 현재는 IPv4와 IPv6를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다.
각 주소 체계의 변환을 담당하는 서비스( NAT )를 사용한다.
- 8비트씩 4부분 32 비트로 구성
- 각 자리는 0 ~ 255까지의 10진수로 표현하며 점으로 구분한다.
전송방식
- 유니캐스트
- 멀티캐스트
- 브로드캐스트
IPv6
IPv4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네트워크 기능 확장성을 지원하고, 보안 및 서비스 품질 기능 등을 개선하였다.
- 16비트씩 8부분 128비트로 구성
- 각 자리는 0 ~ FFFF 까지의 16진수로 표현하며 콜론(:)구분한다.
전송방식
- 유니캐스트
- 멀티캐스트
- 애니캐스트
IPv4 주소 부족 문제 해결 방안
- CIDR : 한정된 IP주소를 불필요하게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라우터의 처리 부터를 경감시킬 목적으로 개발된 IP주소 할당 방식
- DHCP : 부족한 IP 주소를 해결하기 위해 몇 개의 IP를 여러 사용자가 공유할 수 있도록 인터넷에 접속할 때마다 자동으로 IP 주소를 동적으로 할당해준다.
- NAT : 사설 IP 주소를 공인 IP 주소로 바꿔주는 주소 변환기이다. 인터넷의 공인 IP 주소를 절약할 수 있고 공격자로 부터 사설망을 보호할 수 있다.
'정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09. 응용 소프트웨어 기초 기술 활용] 신기술 (0) | 2024.04.26 |
---|---|
[09. 응용 소프트웨어 기초 기술 활용] 라우팅 프로토콜 / 프로토콜 / OSI 7계층 (0) | 2024.04.26 |
[09. 응용 소프트웨어 기초 기술 활용]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0) | 2024.04.26 |
[07.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구축]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요소 ( CIA ) / 접근통제 / 정보 보호 기술 ( AAA ) (0) | 2024.04.26 |
[09. 응용 소프트웨어 기초 기술 활용] 페이징 기법 / 세그먼트 기법 (0) | 2024.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