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9. 응용 소프트웨어 기초 기술 활용] 신기술

2024. 4. 26. 16:17·정처기

소프트웨어 관련 기술

종류 설명
Digital Twin 물리적인 자산 컴퓨터에 동일하게 표현한 가상 모델로 물리적인 자산 대신 해야 할 일을 소프트웨어로 가상화함으로서 실제 자산의 특성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기술
Mashup 웹에서 제공하는 정보 및 서비스를 이용하여 새로운 소프트웨어나 서비스, 데이터베이스 등을 만드는 기술
Deep Learing 인간의 두뇌를 모델로 만들어진 인공 신경망을 기반으로하는 기계학습 기술
컴퓨터가 마치 사람처럼 스스로 학습할 수  있어 특정 업무를 수행할 때 정형화된 데이터를 입력받지 않고 스스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처리한다.
분산 원장 기술 ( DLT ) 중앙 관리자나 중앙 데이터 저장소가 존재하지 않고, P2P망 내의 참여자들에게 모든 거래 목록이 분산 저장되어 거래가 발생할 때마다 지속적으로 갱신되는 디지털 원장을 의미한다.
Hash 임의의 길이의 입력 데이터나 메시지를 고정된 길이의 값이나 키로 변환하는 기술이다.
양자 암호키 분배 ( QKD ) 양자 통신을 위해 비밀키를 분배하여 관리하는 기술로 암호화 익명화 등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통제하는기술을 통칭한다.
프라이버시 강화 기술 ( PET ) 개인정보 침해 위험을 관리하기 위한 핵심 기술로, 암호화, 익명화 등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통제하는 기술을 통칭한다.
그레이웨어 ( Grayware )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입장에서는 악의성이 없더라도 사용자 입장에서는 유용하거나 악의적이라고 판단될 수 있는 애드웨어 공유웨어 스파이웨어 등의 총칭이다.
리치 인터넷 애플리케이션 ( RIA ) 기존의 HTML 보다 역동적이고 인터랙티브한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제작 기술들의 통칭
시맨틱 웹 ( Semantic Web ) 사람을 대신하여 컴퓨터가 정보를 읽고 이해하고 가공하여 새로운 정보를 만들어 낼 수 있도록 이해하기 쉬운 의미를 가진 차세대 지능형 웹이다.
증발품 ( Vaporware ) 판매 또는 배포 계획이 있었으나 실제로 고객에게 판매되거나 배포되지 않은 포스트웨어
오픈 그리드 서비스 아키텍처 ( OGSA ) 애플리케이션 공유를 위한 웹 서비스를 그리드 상에서 제공하기 위해 만든 개방형 표준이다.
소프트웨어 에스크로 ( Sortware Escrow )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지식재산권을 보호하고 사용자는 저렴한 비용으로 소프트웨어를 안정적으로 사용 및 유지보수 받을수 있도록 소스 프로그램과 기술 정보등을 제3의 기관에 보관하는 것이다.
복잡 이벤트 처리 ( CEP )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많은 사건들중 의미가 있는 것만을 추출할 수 있도록 사건 발생 조건을 정의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금융 통신 전력 물류 국방 등에서 대용량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요구에 실시간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개발된 기술이다.
보안 운영체제 ( Secure OS ) 신뢰성 운영체제라고도 하며, 컴퓨터 운영체제상에 내재된 보안상의 결함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각종 해킹으로부터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하여 기존운영체제 내에 보안 기능을 추가한 운영체제이다.
TCP wrapper 호스트 기반 네트워킹 ACL 시스템으로서 리눅스 같은 운영체제의 인터넷 프로토콜 서버에서 네트워크 접근을 필터링하기 위해 사용된다.
텐서플로( TensorFlow ) 구글에서 개발한 오픈 소스 기계 학습 엔진이다.

c++ 언어로 작성되었고, 파이선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하드웨어 관련기술

종류 설명
Wearable Computing 컴퓨터를 옷이나 장신구처럼 몸에 장착
Memristor 메모리와 레지스터의 합성어로 전기가 없는 상태에서도 전사 상태를 저장할 수 있다.
고가용성 ( HA ) 클러스터 이중화 기술
N-Screen 복수의 다른 단말기에서 동이한 콘텐츠를 자유롭게 이용 할 수 있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Thin Client PC 하드웨어나 주변 장치 없이 기본적인 메모리만 갖추고 서버와 네트워크로 운영되는 개인용 컴퓨터
패블릿 Phone + Tablet 
MEMS 초정밀 반도체 제조 기술을 바탕으로 센서, 액추에이터등 기계 구조를 다양한 기술로 미세 가공하여 전기기계적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한 초 미세장치
TrustZone 하나의 프로세서를 일반 애플리케이션을 처리하는 일반구역과 보안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을 처리하는 보안 구역으로 분할 하는 기술
M DISC 한번의 기록으로 자료를 영구 보관할 수 있는 광 저장장치이다.
Cloud HSM 클라우드 기반으로 암호화 키 생성, 저장, 처리 등을 하는 보안 기기

 

데이터베이스 관련기술

종류 설명
Big Data 기존의 관리 방법이나 분석 체계로는 처리하기 어려운 막대한 양의 정형 또는 비정형 데이터 집합이다.
Broad Data 다양한 채널에서 소비자와 상호 작용을 통해 생성된 기업 마케팅에 있어 효율적이고 다양한 데이터이며, 이전에 사용하지 않거나 알지 못했던 새로운 데이터나 기존 데이터에 새로운 가치가 더해진 데이터
Digital Archiving 디지털 정보 자원을 장기적으로 보존하기 위한 작업이다.
Hadoop 오픈소스를 기반으로 한 분산 컴퓨팅 플랫폼

가상화된 대형 스토리지를 형성하고 그안에 보관된 거대한 데이터 세트를 병렬로 처리할 수 있도록 개발된 자바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이다.
Tajo 우리나라가 주도하는 하둡기반의 분산 데이터웨어하우스 프로젝트이다.

맵듀리스를 사용하지 않고, SQL을 사용
Data Diet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이 아니라 압축하고, 중복된 정보는 중복을 배제하고, 새로운 기준에 따라 나누어 저장하는 작업이다.
Data Warehouse 기업의 전략적 관점에서 효율적인 의사 결정을 지원하기 위해 데이터의 시계열적 축적과 통합을 목표로하는 기술의 구조적 통합적 환경이다.
Linked Open Data 사용자가 정확하게 원하는 정보를 찾을 수 있도록 웹상의 모든 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를 무료로 공개하고 연계하는 것이다.
Data Mining 대용량 데이터에서 의미 있는  통계적 패턴이나 규칙 관계를 찾아내 분석하여 유용하고 활용할 수 있는 정보를 추출하는 기술이다.

 

네트워크 관련 기술

종류 설명
유비쿼터스 시간 장소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정보 통신 환경
Smart Grid 전기 및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전력망을 지능화, 고도화 함으로써 고품질 전력 서비스를 제공하고 에너지 이용효율을 극대화하는 전력망이다.
Wibro 이동하는 상태에서 초고속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무선 휴대 인터넷 서비스
Mesh Network 기존 무선 랜의 한계 극복을 위해 등장, 대규모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생성에 최적화되어 차세대 이동통신, 홈 네트워킹, 공공 안전 등의 특수 목적을 위한 새로운 방식의 네트워크 기술
VoIP 음성데이터를 IP패킷으로 변경해주는 프로토콜
RFID 모든 사물에 전자 태그를 부착하고 문선 통신을 이용하여 최대 10M 내의 사물의 정보 및 주변 상황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 기술
NFC RFID 기술 중 하나로 최대 통신 거리가 10CM 이내로 좁은 비접촉식 통신 기술
WIPI 한국형 무선 인터넷 플랫폼
WAP 무선 인터넷전송 규약
VPN 공용 네트워크를 사설 네트워크 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기술 SSL VPN, IPSec VPN
Beacon 근거리에 있는 스마트폰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무선 통신장치
Foursquare 위치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PICONET 여러 개의 독립된 통신 장치가 블루투스 및 UWB 기술을 사용하여 통신망을 형성하는 무선 네트워크 구축 기술
MQTT TCP/IP 프로토콜 위에서 동작하는 발행-구독 기반의 메시징 프로토콜
클라우드 컴퓨팅 컴퓨터나 휴대폰과 같은 통신 기기를 이용해 언제 어디서나 서비스를 이요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애드혹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자율적으로 구성되는기반 구조가 없는 네트워크

멀티 홉 라우팅 기능에 의해 무선 인터페이스가 가지는 통신 거리상의 제약을 극복할 수 있어 긴급 구조 긴급회의 전쟁터에서의 군사 네트워크 등에 응용할 수 있다.

 

'정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09. 응용 소프트웨어 기초 기술 활용] IPv4 / IPv6  (0) 2024.04.26
[09. 응용 소프트웨어 기초 기술 활용] 라우팅 프로토콜 / 프로토콜 / OSI 7계층  (0) 2024.04.26
[09. 응용 소프트웨어 기초 기술 활용]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0) 2024.04.26
[07.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구축]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요소 ( CIA ) / 접근통제 / 정보 보호 기술 ( AAA )  (0) 2024.04.26
[09. 응용 소프트웨어 기초 기술 활용] 페이징 기법 / 세그먼트 기법  (0) 2024.04.25
'정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09. 응용 소프트웨어 기초 기술 활용] IPv4 / IPv6
  • [09. 응용 소프트웨어 기초 기술 활용] 라우팅 프로토콜 / 프로토콜 / OSI 7계층
  • [09. 응용 소프트웨어 기초 기술 활용]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 [07.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구축]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요소 ( CIA ) / 접근통제 / 정보 보호 기술 ( AAA )
곱창국수
곱창국수
  • 곱창국수
    곱창의 노트
    곱창국수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 JAVA
      • Spring
      • DevOps
      • 알고리즘
      • CS
      • JPA
      • 정처기
      • 자료구조
  •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 링크

  • 공지사항

  • 인기 글

  • 태그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관리
    DevOps
    spring
    알고리즘
    보안공격
    docker
    Kubernetes
    정처기
    데이터 입 출력
    K8s
  • 최근 댓글

  • 최근 글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1
곱창국수
[09. 응용 소프트웨어 기초 기술 활용] 신기술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